배경
유방암에 걸렸던 여성들에게서 효과적인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암 치료 후 관리)에 대한 수요가 늘고있다. 본 고찰은 지난 10년간 유방암에 대한 주요 치료(수술,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 또는 두 가지의 조합)과정을 종료한 여성의 QOL(삶의 질)에 대한 가정에서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특성
본 연구에서는 26건의 2,272명이 참가한 가정중심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 연구를 찾아내었다. 가정 중심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의 내용 및 제공 수단은 고찰에 포함된 임상시험마다 다양하였다. 생존 프로그램은 3가지의 특정 할 수 있는 구성 요소, 즉 교육적 요소(정보 제공 자기 관리에 관한 자문 등), 신체적 요소(운동 훈련, 체력 훈련 등) 및 심리적 요소(상담,인지 치료 등) 중 2개 이상의 조합이 가능했다. 대부분의 임상시험은 일반 관리(정기적인 후속 의료 서비스)를 대조군으로 넣고 비교했다. 몇건의 임상시험에서는 더 낮은 수준의 혹은 다른 종류의 중재(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 또는 주의 통제를 비교군으로 삼고 있었다.
결과에서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가정 중심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은 QOL(삶의 질)의 개선에 단기간의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 건의 연구는 가정에서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이 증상 및 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했다. 가정에서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을 받은 유방암 생존자에게서 피로, 불면증 및 불안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효과는 단기간의 것이었다. 우울증, 홍조 및 불안 증상에 관해서 그룹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가정 중심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은 이를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보다 그룹에 제공하는 것이 효과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존 프로그램의 교육적, 심리적 및 신체적 구성 요소에 의한 QOL의 차이를 나타내는 근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근거의 질
모든 연구에서 QOL에 관한 근거의 질은 중간에서 매우 낮은 정도까지 나타났으며, 이는 본 연구가 결과에 대해(QOL의 개선 등) 어느 정도 확신을 가지게 하였지만, 한편 다른 결과(피로, 불면증과 불안의 경감 등)에 대해서는 확신을 얻을 수 없었다.
해당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결과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HBMS 프로그램은 FACT-B와 EORTC QLQ-C30에 의해 각각 측정되는 유방암의 QOL 및 전반적인 QOL의 개선에 단기간의 유익한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BMS 프로그램은 중재 직후의 불안, 피로 및 불면증 완화에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연구결과에 대한 근거의 질은 중간 정도여서 결과에 꽤 확신이 있었지만 다른 결과들에 대한 근거의 질은 낮아 결과를 확신하기에 불분명했다.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생존률은 전 세계에서 두드러진 개선을 보이고있다. 유방암 환자의 암 치료 후 관리(survivorship care)는 여성의 삶의 질(QOL)을 극대화함으로써 재활과 정상 생활로 이행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가정에서의 다차원 프로그램에 더 크게 중점을 두게 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유방암 수술 후 또는 수술 후 보조 요법 종료 후 10년 미만 혹은 그 양쪽 모두에 해당하는 여성에서 가정 중심의 복합적인 생존 프로그램의 QOL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최선의 근거를 요약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방암 생존자의 가정중심의 다차원적 생존 프로그램(HBMS)에 의한 QOL의 유지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다.
2016년 4월 Cochrane Breast Cancer Specialised Register, CENTRAL, PubMed, Embase, CINAHL Plus, PsycINFO, Web of Science, 세계 보건기구의 국제 임상시험 등록 플랫폼(WHO ICTRP) 및 ClinicalTrials.gov를 검색했다. 또한 찾아낸 모든 임상시험의 참고문헌목록을 검토하고 연구자에게 연락을 취했다.
0에서 3기 유방암에 걸렸던, 주요 암 치료를 끝낸 유방암 환자의 QOL을 향상시키거나 관리하는 HBMS의 효과를 검증하는 무작위대조시험(RCTs)과 준무작위대조시험(quasi-RCTs)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목록을 포함된 요소가 하나 이상 포함된 중재를 지닌 연구들을 고려하였다: 교육적 요소(정보 제공 및 자기 관리에 관한 자문 등), 신체적 요소(운동 훈련, 체력 훈련 등) 및 심리적 요소(상담,인지 치료 등) 중 2가지 이상을 포함한 다차원적 프로그램을 구성하려 하였다. 중재는 가정에서 실시하는 것도 인정되는 것으로 했다.
검토자 2명이 독립적으로 선택 기준에 대한 임상시험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질 평가를 실시한 후, 선택한 임상시험 관련 데이터를 추출했다. QOL이 해당 고찰의 주요 결과였다.
2,272명이 참가한 22건의 RCT와 4건의 준RCT를 포함시켰다. 중재 요소를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교육 및 심리적 요소', '교육 및 신체적 요소', '신체 및 심리적 요소', 그리고 '교육, 신체, 심리적 요소'로 나누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일반적 관리(정기적 후속 의료서비스)를 비교측정으로 이용하였다. 몇건의 임상시험에서는 더 낮은 수준의 혹은 다른 종류의 중재(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 또는 주의 통제를 비교군으로 삼고 있었다.
FACT B(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EORTC QLQ-C30(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30), Quality of Life(QoL), Breast Cancer 및 SF36등의 평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FACT-B와 EORTC QLQ-C30에 의한 측정 결과 HBMS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QOL 및 중재 직후의 전반적인 QOL이 개선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FACT-B : 평균차(MD) 4.55, 95% 신뢰구간(CI) 2.33~6.78, 7건의 임상시험, 764명의 참가자, EORTC: MD 4.38, 95% CI 0.11~8.64, 6건의 임상시험, 299명의 참가자, 중간 정도의 근거의 질). QoL-Breast Cancer 또는 SF-36에 의한 측정 결과에서 QOL의 차이를 나타내는 근거는 없었다(QoL-Breast Cancer : MD 0.42, 95% CI -0.02~0.85, 2건의 임상시험, 111명의 참가자, 근거의 질: 매우 낮음; 신체적 측면의 점수 SF-36: MD 0.55, 95% CI -3.52~4.63, 2건의 임상시험, 308명의 참가자, 근거의 질: 낮음).
중재 후 1~3개월의 시점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확인되었다 (FACT-B: MD 6.10, 95% CI 2.48~9.72, 2건의 임상시험, 426명의 참가자, EORTC QLQ-C30: MD 6.32, 95% CI 0.61~12.04, 2건의 임상시험, 172명의 참가자, QoL-Breast Cancer: MD 0.45, 95% CI -0.19~1.09, 1건의 임상시험, 61명의 참가자). 4~6개월 및 12개월 시점에서 그룹 간에 QOL의 차이를 나타내는 근거는 없었다(4~6개월: EORTC: MD 0.08, 95% CI -7.28~7.44, 2건의 임상시험, 117명의 참가자, SF-36: MD -1.05, 95% CI -5.60~3.51, 2건의 임상시험, 308명의 참가자; 12개월: EORTC: MD 2.04, 95% CI -9.91~13.99, 1건의 임상시험, 57명의 참가자).
기능적 상태는 QOL의 하위 척도의 결과를 포함한다. HBMS 프로그램은 중재 직후 대조군에 비해 불안이 완화될 가능성이 제시되었지만(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의 MD -1.01, 95% CI -1.94~-0.08, 5건의 임상시험, 253명의 참가자, 매우 낮은 근거의 질), 그 효과는 중재 후 4~6개월 시점까지 지속되지 않았다. 우울증은 HBMS 프로그램 직후(HADS : MD -1.36, 95% CI -2.94~0.22, 4건의 임상시험, 213명의 참가자, 낮은 근거의 질) 또는 추적 조사시 개선을 나타내는 근거는 얻을 수 없었다. HBMS 프로그램은 피로(MD -1.11, 95% CI -1.78~-0.45, 3건의 임상시험, 127명의 참가자, 낮은 근거의 질) 및 불면증(MD -1.81, 95% CI -3.34~-0.27, 3건의 임상시험, 185명의 참가자, 낮은 근거의 질)이 감소될 가능성이 나타났다.
포함된 어떤 연구에서도 관리 서비스의 필요성과 활용 및 관리 비용에 대해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HBMS 프로그램의 보건 의료 이용 및 비용에 대한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 8건의 임상시험에서 평가 방법 고수에 편차가 있었기 때문에 결과를 통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할 수 없었다. 보고된 고수비율은 58~100%이며, 결과를 설명으로 정리했다.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