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정신병 약물은 급성 질환 발생 시뿐만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도 조현병 치료의 주축이 된다. 사람들이 중간에 치료 중단을 원할 수도 있지만, 정신 질환 증상의 재발은 치료 중단 후에도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발은 개인과 그 가족에게 위해의 위험, 자율성의 상실, 그리고 상당한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보고서는 2012년에 이전에 발표된 체계적 고찰의 최신 버전을 제시하며, 1950년대 이후 장기간에 걸쳐 발표된 75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RCT)에 근거하고 있으며, 9000명 이상의 참가자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항정신병 약물은, 약물 단종이라고도 불리는 위약과 비교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치료법이다. 목적은 두 옵션 각각에 대한 유익성과 위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고찰의 결과는 항정신병 약물들이 효과적으로 재발과 입원 필요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매우 일관되게 보여준다. 실제로 치료 중단의 경우 1년 후 재발 위험이 3배 가까이 높다. 항정신병 약물들은 활동 및 관계 능력과 증상을 완화 시킬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근거가 거의 없다. 다시 적은 수의 보고에 근거하지만, 치료를 지속하는 사람들은 더 높은 삶의 만족도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재발 위험이 높은 삶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 반대로 항정신병 약물은 집단으로서 운동장애, 체중증가, 진정제 등 여러 부작용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찰은 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고의적으로 유지하는 것보다 훨씬 더 해롭다는 사실을 잘 이해시켜준다.
불행히도, 이 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일반적으로 1년까지 지속되며, 이는 이러한 약물의 장기적 효과를 명확히 하기 어렵게 한다. 그러나 연구가 길어질수록 다른 요인(예: 환경적 요인)이 누적되어 결과의 해석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이 고찰은 다양한 유형의 참가자들 사이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장점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최선의 전략은 항정신병 약물 치료를 계속하고 부작용 발생 시 이를 논의하고 조정하는 것이다.
조현병 환자들의 경우 최대 2년 동안의 추적 기간 동안 항정신병 약물 정비가 위약보다 훨씬 더 큰 수준으로 재발 방지를 한다는 근거가 제시됐다. 이 효과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향후 연구는 이러한 약물과 관련된 장기적인 질병률과 사망률을 더 잘 밝혀야 한다.
조현병의 증상과 징후는 뇌의 특정 부위(림프계)에 높은 수치의 도파민과 연관되어 왔다. 항정신병 약물들은 뇌의 도파민의 전달을 막고 급성 질환의 증상을 감소시킨다. 2012년 발간된 최신 고찰의 원본은 항정신병 약물도 재발방지에 효과적인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것은 상기의 문헌고찰의 업데이트 된 버전이다.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현병 환자를 위한 지속적인 항정신병 약물치료의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임상시험 등록부(2008년 11월 12일, 2017년 10월 10일, 2018년 7월 3일, 2019년 9월 11일)를 포함한 the Cochrane Schizophrenia Group's Study-Based Register of Trials를 검색했다.
정신분열증이나 정신분열증 같은 정신질환자를 위한 항정신병 약물 및 위약의 유지관리를 비교하는 모든 무작위 실험을 포함했다.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추출했다. 이분법 데이터의 경우 무작위 효과 모형을 기반으로 위험 비율(RR)과 95% 신뢰 구간(CI)을 계산했다. 연속형 데이터의 경우 랜덤 효과 모델을 기반으로 평균 차이(MD) 또는 표준화된 평균 차이(SMD)를 다시 계산했다.
현재 고찰에는 9145명이 참가자를 포함한 75개의 무작위 대조 시험(RCT)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위약과 항정신병 약물을 비교한다. 이 시험은 1959년부터 2017년까지 출판되었으며, 14~420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무작위화, 할당 및 블라인딩 방법이 형편없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비뚤림 위험이 낮은 연구로 분석을 제한한 결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것과 다른 잠재적 비뚤림의 원인들이 전체적인 질을 제한했지만, 조현병 유지 치료를 위한 항정신병 약물의 효능은 분명했다. 7~12개월간의 재발방지에 항정신병 약물은 위약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1차 결과; 위약 61%와 약물 24% 비교, 무작위 대조 시험 30개, n = 4249, RR 0.38, 95% CI 0.32~0.45, 추가 유익성 결과의 수(NNTB) 3, 95% CI 2~3; 높은 근거 확실성).
그러나 입원 위험도 감소하였다 (약물 7%와 위약 18% 비교, 무작위 대조 시험 21개, n = 3558, RR 0.43, 95% CI 0.32 ~ 0.57, 추가 유익성 결과의 수(NNTB) 8, 95% CI 6 ~ 14, 높은 근거 확실성). 항정신병 약물군보다 위약군 그룹 참여자가 더 많고(7~12개월: 약 36% 대 위약 62%, 24 RCTs, n = 3951, RR 0.56, 95% CI 0.48 대 0.65, NNTB 4, 95% CI 3~5, 효과성이 낮음) 때문에 일찍 연구를 떠났다. 46%, 24 RCTs, n = 3951, RR 0.37, 95% CI 0.31 ~ 0.44, NNTB 3, 95% CI 3 ~ 4)
삶의 질은 약물 치료 참가자(무작위 대조 시험 7개, n = 1573 SMD -0.32, 95% CI -0.57 ~ -0.07; 낮은 근거 확실성)에서 더 좋을 수 있다; 사회 기능에도 동일할 수 있다 (무작위 대조 시험 15개, n = 3588, SMD -0.43, 95% CI -0.53 ~ -034; 중간 수준의 근거의 질)
부족한 데이터는 '자살로 인한 사망'(약물 0.04%와 위약 0.1% 비교, 19 RCTs, n = 4634, RR 0.60, 95% CI 0.12 ~ 2.97, 낮은 근거 확실성)과 고용 참여자 수(9~15개월의 기간, 약물 39%와 위약 34% 비교, 3 RCTs, n = 593, RR 1.08, 95% CI 0.82 ~ 1.41, 낮은 근거 확실성)에 대한 그룹 간 차이를 전혀 드러내지 않았다. 1.41, 확실성이 낮은 근거).
항정신병 약물(집단적으로, 지속기간에 관계 없이)은 더 많은 참가자가 운동장애(예: 적어도 하나의 운동장애: 약물 14%와 위약 8% 비교, RCTs 29, n = 5276, RR 1.52, 95% CI 1.25~1.85, 추가 유해성 결과의 수(NNTH) 20, 95% CI 14 ~ 50), 진정제 투여(약물8%와 위약 5% 비교, 18 RCTs, n = 4078, RR 1.52, 95% CI 1.24 ~ 1.86, NNTH 50, 95% CI는 중요하지 않음), 그리고 체중증가 (약물 9%와 위약 6% 비교, 19 RCTs, n = 4767, RR 1.69, 95% CI 1.21 ~ 2.35, NNTH 25, 95% CI 20 ~ 50)를 경험하는 것과 관련되었다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