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질
심부전 환자 관리를 위한 구조화된 전화 지원과 비 침습성 전화모니터링의 효과에 관한 근거를 조사했다. 연구 41건을 확인했다. 포함된 연구 중 2건은 구조화된 전화 지원과 전화모니터링 모두를 일상적 의료서비스와 비교 시험하여, 따라서 비교 시험은 총 43건 이다. 2015년 1월 까지의 근거이다.
배경
건강에 대한 재원이 제한되어 있고 노인 인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건 의료서비스 시스템이 심부전 환자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심부전 전문 종합병원은 소수의 환자들만 갈 수 있고, 이 병원들은 환자를 자주 검사할 능력이 없다. 환자들은 비용, 이동의 어려움 또는 장애와 허약함으로 인해 병원에 자주 가려하지도 않고 갈 수도 없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과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면 보건 의료서비스에 접근이 제한적인 많은 사람들에게 전문적으로 심부전과 관련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의 특징
본 연구에는 구조화된 전화 지원 또는 전화모니터링 중 한 가지 방법을 동료가 검토한 41건의 연구 전문이 포함되어있다. 스물 다섯 건의 연구(새로운 연구 8건과 기존 연구에 포함되었으나 현재 전화모니터링으로 분류된 1건 추가 ; 참가자 총된 9,332명)는 구조화된 전화 지원을 평가했고, 18건(연구 9건; 참가자 3,860명)은 전화모니터링을 평가했으며, 2건은 두 가지 중재 모두를 평가했다(목록 수에 들어 있다).
주요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심부전 환자를 가정에서 지원하면 사망률과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을 낮출 수 있음을 밝힌다. 위와 같은 방법은 환자의 삶의 질, 심부전에 관한 지식과 자기 간호를 개선한다. 노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 방법을 쉽게 사용하게 되며, 이들 중재에 만족한다.
근거의 질
GRADE 기준에 따라 본 연구의 1차 결과(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모든 원인으로 인한 입원 및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의 근거의 질을 평가했다. 근거의 질은 매우 낮음(모든 원인으로 인한 입원)에서 중간 정도(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라고 평가한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과 비 침습성 가정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면 심부전 환자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이 감소한다; 또 이들 중재는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심부전에 관한 지식과 자기 간호가 개선됨을 보여준다. 또 연구 결과, 환자들이 이 결과가 나타난 중재에 대해 대부분에 만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심부전 전문 관리 프로그램(specialized disease management program for heart failure)은 의료서비스와 임상적 결과를 개선하여 (또는) 보건 의료서비스 이용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2010년 본 연구의 최종 본 이후, 구조화된 전화 지원(structured telephone support)과 비 침습성 가정 전화모니터링(non-invasive home telemonitoring) 방법을 새로 시험하여 이 방법들의 효과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심부전 환자를 위한 일상적 의료서비스보다 우수한 구조화된 전화 지원 또는 비 침습성 가정 전화모니터링 중재 효과를 계량화하기 위해 이들 중재를 표준 치료와 비교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를 검토한다.
우리는 2015년 1월 the Cochrane Library에 게재된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ENTRAL), Abstract of Reviews of Effects (DARE)의 데이터베이스,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Web of Science (Thomson Reuters)의 MEDLINE (OVID), EMBASE (OVID), CINAHL (EBSCO),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CI-EXPANDED), Conference Proceedings Citation Index-Science를 재검색 했다. 우리는 관련 연구와 체계적 연구의 참고 문헌 목록과 회의록 초록도 수기 검색했다. 언어 문제로 인한 제한은 없었다.
만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구조화된 전화 지원 또는 비 침습성 가정 전화모니터링을 일상적 의료서비스와 비교하여 동료가 평가한 후 발표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만을 선정했다. 계획에 따른 가정 방문 또는 일상적(보통 4 - 6주) 이상의 임상적 사후 관리는 중재 또는 일상적인 의료서비스에 포함하지 않았다.
데이터를 95% 신뢰 구간(confindence interval, CI)이 있는 위험비(risk ratio, RRs)로 제시했다. 고정 효과 모델(fixed-effec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한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모든 원인 및 심부전과 관련한 입원이 1차 결과에 포함되어 있다. 기타 결과에는 입원 기간, 건강 관련 삶의 질, 심부전에 관한 지식과 자기 간호, 수용성 및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을 기술하여 표로 나타냈다. 메타 회귀 분석으로 각 하위 그룹의 동질성(필요없는 가설)을 평가하고 정량적 변수(발표 연도 또는 중앙 값 연령)에 따라 중재 효과가 다른지를 확인했다.
심부전 환자를 위한 구조화된 전화 지원 또는 비 침습성 가정 전화모티터링에 관한 41건의 연구가 포함되어, 이 중 24건은 기존 코크란연구에 포함되어 있으며, 17건은 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5건의 연구가 구조화된 전화 지원을 평가하고(새로운 연구 8건과 기존 연구에 포함되었으나, 전화모니터링으로 분류된 연구 1건 추가; 참가자 총 9,332명), 18건의 연구는 전화모니터링을 평가했다(새로운 연구 9건; 참가자 총 3,860명). 포함된 연구 중 2건은 구조화된 전화 지원 및 전화모니터링을 일상적 의료서비스와 비교 시험하여, 이에 따라 비교 연구는 총 43건이다.
비 침습성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RR 0.80, 95% CI 0.68 - 0.94; 참가자=3,740명; 연구=17건; I²=24%, GRADE: 근거의 질은 중간 정도) 및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RR 0.71, 95% CI 0.60 - 0.83; 참가자=2,148명, 연구=8건; I²=20%, GRADE: 근거의 질은 중간 정도)이 줄었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을 실시하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RR 0.87, 95% CI 0.77 - 0.98; 참가자=9,222명; 연구=22건, I²=0%, GRADE: 근거의 질은 중간 정도)과 심부전과 관련된 입원이 감소했다(RR 0.85, 95% CI 0.77 - 0.93; 참가자=7,030명; 연구=16건; I²=27%, GRADE: 근거의 질은 중간 정도).
구조화된 전화 지원과 전화모니터링 모두 모든 원인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줄이지 못 했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 RR 0.95, 95% CI 0.90 - 1.00; 참가자=7,216명; 연구=16건; I²=47%, GRADE: 근거의 질이 매우 낮음; 비 침습성 전화모니터링 : RR 0.95, 95% CI 0.89 - 1.01; 참가자=3,332명; 연구=13건; I²=71%, GRADE: 근거의 질이 매우 낮음).
구조화된 전화 지원에 관한 7건의 연구에서 입원 기간을 보고하였으나,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보고한 연구는 1건 이다.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9건의 연구에서도 입원 기간 결과를 보고하였으나, 이 중 1건이 중재로 인해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1건이 총 입원 기간이 3일 이상 유의하게 큰 차이가 있다고 보고했으나, 각 건별로 입원 기간을 분석한 것이 아니었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에 관한 연구 11건 중 9건과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11건 중 5건에서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했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에 관한 연구 9건과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6건에서 중재 비용 또는 비용 효율성을 보고했다. 구조화된 전화 지원에 관한 연구 3건과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1건에서 비용 증가를 보고했으며, 전화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2건에서는 중재 비용과 의료 관리의 증가로 인한 비용 증가를 보고했다. 이 결과를 보고한 구조화된 전화 지원 및 전화모니터링 연구의 충성도(adherence)는 55.1%와 98.5%에 걸쳐 있었다. 이 결과를 평가한 연구에서 참가자의 중재 수용도는 76%에서 97%에 걸쳐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 결과를 측정한 9건의 연구 중 7건은 심부전에 관한 지식과 자기 간호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다.